부부미술치료: 뇌과학에서 본 성 차이
왜 남자는 여자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가?
왜 여자는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면서
남편이 그 문제를 빨리 해결하려고 노력하면 화를 내는 건가?
여자는 남자의 단순함에 좌절감을 느낀다.
왜 남자는 한 번에 하나씩만 하려고 주장하는가, 왜 그렇게 고지식한가?
왜 여자는 성별에 감정적으로 집착하는데 반해 남자의 마음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인가?
왜 남자는 여자와 이야기를 나누는 대신에 그렇게 의사결정을 빨리 하는 것인가?
어떻게 신경생물학적 성 차이가 이러한 잘못된 소통을 하는 것들은
부부미술치료의 지침들을 수정하고, 보다 효과적인 부부미술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뇌기능에서의 성 차이는 일생 동안 계속되는 행동에서의 심리적인 차이들을 만들어낸다.
신생아 때부터 여성의 뇌에서는 언어 선호적인 단서들이 발견되고,
남성의 뇌에서는 행동 선호적인 단서들이 발견된다.
신생아 여아가 가족들의 얼굴을 더 잘 인식하는 데 반하여,
남아는 움직이는 대상을 더 잘 추적한다.
높은 레벨의 테스토스테론은 신생아 남아가 더 공격적이고 활동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을 갖게 한다.
신생아 여아는 좌절에 대하여 남아와 다르게 반응한다.
일생을 통해 여아들은 다른 사람들을 지원하는 일에 종사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남아들은 더 독립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진화 과정은 남성과 여성의 뇌가 일반적인 성 역할과 관련된 특성들을
- 여성은 엄마/양육자로서 남성은 사냥꾼/수렵인으로서- 발달시키도록 한다.
'이야기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여고 불났을때 (0) | 2015.05.08 |
---|---|
내가 겪은 4.19 (0) | 2015.05.08 |
잉꼬부부의 탄생 (0) | 2015.05.08 |
컴퓨터가 없는 세상 (0) | 2015.04.24 |
대추나무의일생 (0) | 201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