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방

생각정리의 기술

이예경 2009. 12. 20. 14:41

책소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화가였을 뿐만 아니라 지질학, 수학, 해부학, 광학, 항공학 등의 분야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다 빈치가 이렇게 놀라운 업적을 이룬 것은 그의 독특한 사고법 덕택이었다. 스케치와 낙서, 비행기 설계도와 요리법, 심지어 농담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기호와 단상들을 자유롭게 확장해나가는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메모하였다. 다 빈치뿐만 아니라 아인슈타인, 피카소, 에디슨 같은 천재들도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한 수많은 메모를 남겼다.

영국의 교육 심리학자이자 멘사 회원인 토니 부잔은 다 빈치의 메모에서 영감을 얻어 마인드맵을 개발하였다. 이로써 베일에 가려졌던 천재들의 사고법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종이 한 장, 연필 한 자루만 있으면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천재들의 사고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마인드맵이란 기호, 그림, 색상 등을 활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방사형으로 펼쳐나가는 창의적 사고법이다. 또한, 생각을 체계화하고 기억력과 이해력을 증진시키는 혁신적인 메모의 기술이다. 마인드맵은 정보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우리의 모든 일상생활과 업무를 계획ㆍ관리하는 데 훌륭한 가이드 역할을 해준다. 또한 회의, 업무계획, 프레젠테이션, 사원 교육, 경영 기법 등 비즈니스 분야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현재 IBM, 골드만 삭스, 보잉, GM 등을 비롯하여, 미국의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 300여 개의 기업이 마인드맵을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여러 대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책은 마인드맵을 실무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충실한 활용법을 담고 있다. 부록으로 사원교육, 고객관리, 제안서 등 비즈니스 업무에 활용한 마인드맵의 다양한 샘플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장의 말미에는 감수를 맡은 한국마인드맵연구회 권봉중 회장이 직접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한 마인드맵을 수록하여 독자들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저절로 마인드맵 훈련이 되도록 꾸몄다.

저자 소개

저자 : 드니 르보 외

드니 르보(Denis Rebaud) : 컴퓨터 마인드맵 컨설턴트 및 교육자이며 ‘정보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TIC) 전문가이다. 정보컴퓨터 관련 대기업인 Unilog사에서 기술감시위원을 역임했고, 텔레커뮤니케이션 국립학교(INT)와 고등산업연구센터(CESI)와 같은 프랑스 기술학교들에서 강의하고 있다.

장 뤽 들라드리에르(Jean-Luc Deladriere) : 컨설턴트이자 벨기에 장불루 대학의 바이오엔지니어 강사이다. 벨기에, 독일, 스위스에서 품질경영 및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케이션 부문에서 다양한 간부직을 맡았다. 1999년에 마인드맵 관련 프랑스어권 1위 사이트인 www.petillant.com을 창시했다. 현재 마인드맵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여러 기업들에 조언하고 교육을 시키는 컨설턴트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피에르 몽젱(Pierre Mongin) : 프랑스 북부에 있는 릴 대학의 객원교수이자 컨설턴트이다. 인트라넷, 인터넷, 프로젝트 관리, 경제정보에 관한 도서 여섯 권을 혼자서, 때로는 여럿이 함께 저술했다. 최근에는 뒤노드 출판사에서 《일상의 경제정보에 대한 작은 입문서》를 펴냈다.

프레데릭 르 비앙(Frederic Le Bihan) : 마인드맵...펼처보기

역자 : 김도연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어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의 파리 13대학에서 언어학 D.E.A.(기초박사)를 취득했고, 파리 13대학 언어학 박사과정에서 ‘광고담화분석’을 주제로 연구했다. 《아줌마가 우리 엄마예요?》, 《아빠의 하루》 등의 아동 그림책과 《요리의 거장 에스코피에》, 《BJ의 사무실 일기》를 우리말로 옮겼다. 현재는 프랑스 책들을 국내에 소개하는 일과 더불어 번역 및 기획 작업을 하고 있다.

목차

감수의 글
들어가기에 앞서

머리말
마인드맵이란 무엇인가?|마인드맵은 왜 효과적인가?|마인드맵의 기원은?|어디에 사용하는가?|마인드맵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은?|마인드맵을 사용할 때 장애물은?|종합마인드맵

제1장. 마인드맵 만들기
마인드맵의 규칙|마인드맵의 작성|종합마인드맵

제2장. 목표 정하고 달성하기
왜 목표를 정해야 하나?|그럼 나의 자유는?|왜 나는 골머리를 썩으면서도 삶이 흘러가는 대로 놔두지 않는 걸까?|그런데 어디서부터 시작하지?|목표를 정한 후에도 여전히 책만 들여다보고 있어야 할까?|“내게 문제는, 시간이 없다는 거야…….”|회사에서 목표는 왜 불확실하게 수립되는가?|우뇌의 중요성|효과적인 목표 설정|전략적 도구 ‘마인드맵’|마인드맵에 부가된 가치|여러 가지 방법들

제3장. 올바른 의사결정 내리기
의사결정은 어렵다|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릴 것인가?|결정은 신중하게|선택할 수 있는 몇 가지 기법들|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도구, 마인드맵|마인드맵에 부가된 가치|종합마인드맵
제4장. 일상생활에서의 마인드맵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라 | 무엇을 해야 하나? | 우리가 진정으
...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창의적 사고법이며 혁신적인 메모의 기술, 마인드맵!

우리의 두뇌는 무한한 능력을 가진 보물창고이다. 그 보물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에 인생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 마인드맵은 두뇌 속의 보물을 마음대로 꺼내어 쓸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다시 말해서, 마인드맵은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는 두뇌의 효율적인 메뉴얼’이며, 우리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해주고, 조화롭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게 해주는 도구인 것이다.

1970년대 영국의 교육심리학자 토니 부잔이 창안한 마인드맵은 말 그대로 ‘생각의 지도’라는 뜻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여러 생각들을 나뭇가지 모양의 방사형으로 펼쳐나가는 창의적 사고법이며, 혁신적인 메모의 기술이다. 이렇게 하면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각을 유지하면서도 세부사항에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아무리 복잡한 문제라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해결책을 신속하게 떠올릴 수 있다. 또한 창의력과 기억력, 자발성이 높아져서 공부나 업무의 효율성도 극대화된다.


마인드맵의 선구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화가였을 뿐만 아니라 지질학, 광학, 해부학, 항공학 등의 분야에서도 뛰어난 지적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런 놀라운 업적은 그의 끝없는 창의력에서 나온 것이며, 이러한 창의력의 원천은 그의 독특한 사고법에 있었다. 당대 학자들의 사상, 해부학 ? 식물학 분야의 일러스트레이션, 비행기계의 설계도, 발명계획 스케치와 낙서, 편지, 요리법, 심지어 농담까지……. 방대한 아이디어가 담겨 있는 그의 노트는 스케치, 기호, 주제어 등을 결합하여 생각을 자유롭게 확장해나가는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즉, 다 빈치는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하여 생각을 정리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방사형 사고의 대가였다. 그리고 이런 방사형 사고 덕분에 그의 천재성이 유감없이발휘되었다. 다 빈치뿐만 아니라 아인슈타인, 피카소, 에디슨 같은 천재들도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한 수많은 메모를 남겼다. 이런 천재들의 사고법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마인드맵이다.

토니 부잔이 다 빈치의 이런 독특한 표현방식에서 영감을 얻어 마인드맵을 개발함으로써 베일에 가려졌던 천재들의 사고법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종이 한 장, 연필 한 자루만 있으면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천재들의 사고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창의력과 업무능력을 최고로 높여주는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수많은 정보들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복잡한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안목을 갖도록 해주며, 빠른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도와준다. 마인드맵을 사용하면 어떤 분야에서든 개인이나 조직의 창의력과 업무수행 능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다. 마인드맵은 정보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놀라운 창조성과 자발성을 이끌어낸다. 또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게 해주며, 우리의 모든 일상생활과 업무를 계획, 관리하는 데 훌륭한 가이드 역할을 해준다.

마인드맵은 회의, 프로젝트, 업무 계획, 프레젠테이션, 문제 해결, 사원 교육, 경영 기법 등 비즈니스 분야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현재 IBM, 골드만 삭스, 보잉, GM 등을 비롯하여, 미국의 포츈지가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 300개의 기업이 마인드맵을 업무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그것은 무한경쟁 속에서 빠른 정보처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마인드맵이 탁월한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직장인을 위한 최고의 마인드맵 가이드북!

이 책은 마인드맵을 실무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충실한 활용법을 담고 있다. 부록으로 사원교육, 고객 관리, 제안서 등의 비즈니스 업무에 활용한 다양한 마인드맵의 샘플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장의 끝부분에 이 책의 감수를 맡은 한국마인드맵 연구회 권봉중 회장이 직접 본문의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한 마인드맵을 수록하여 독자들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저절로 마인드맵 훈련이 되도록 꾸몄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가능하다!

1) 혁신적인 메모의 기술, 마인드맵
마인드맵 방식의 메모는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적극적 ? 능동적으로 듣게 해주며, 강의나 대화의 전체적인 구조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언제든 손쉽게 다시 읽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들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이해한 상태에서 메모를 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향상되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2) 목표 정하고 달성하기
마인드맵을 사용하면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세울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결과가 나오도록 상황에 맞는 전략을 짜고, 예상되는 장애물과 장애물을 피하기 위한 방법 등을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구상할 수 있다.

3)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도구,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정보를 지도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게 해준다. 또한 사고의 폭을 넓혀주며, 두뇌 속에 저장된 여러 정보들을 통합하여 보다 나은 선택을 하게 해주며, 최종적으로 선택한 결정이 타당한지 여부를 전체적 시각에서 점검할 수 있게 해 준다.

4) 일상생활 관리를 위한 도구,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일상적인 일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계획하는 데에도 없어서는 안 될 도구이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일들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명확하게 바라보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즉, 우리의 최종목표와 우선순위, 그에 따라 해결해야 할 중요한 일과 긴급한 일을 구분하게 해주며, 장애물은 무엇이고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해준다.

5) 효과적인 회의진행 도구, 마인드맵
모든 회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마인드맵을 이용하면 회의의 목표가 무엇인지, 다른 참가자들은 어떤 생각과 아이디어,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선택하고 실행해야 할 것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마인드맵 형식의 보고서는 놀라운 종합정리능력을 제공한다.

6) 프로젝트 진행 도구, 마인드맵
마인드맵은 프로젝트 참여자들 모두가 공통된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도록 해주며, 다양한 출처에서 나온 정보를 통합하여 단시간에 프로젝트를 수립하도록 해준다. 또한 각 진행 과정을 이미지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진행상의 문제점을 구성원 모두가 알게 해주고 함께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준다.


컴퓨터로도 그릴 수 있다

종이와 필기도구만으로 손쉽게 마인드맵을 만들 수 있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도 마인드맵 작성이 가능하다. ‘컨셉리더’나 ‘컨셉드로우 마인드맵’, ‘마인드지니어스’, ‘마인드매니저’ 같은 마인드맵 전문 소프트웨어는 원하는 대로 가지 그림을 그리고, 키워드와 이미지를 삽입하기만 하면 저절로 마인드맵을 만들어준다. 또한 이 프로그램들은 작성한 마인드맵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거나 MS 워드, 파워포인트로 옮길 수 있으며, HTML 웹사이트 페이지로 만들 수도 있는 등 모든 업무에 아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닫기

'이야기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단한 솜씨  (0) 2009.12.23
30년 만의 외출  (0) 2009.12.20
그랜드캐년의 겨울  (0) 2009.12.06
과천도서관 년말행사  (0) 2009.12.05
시상식 단체사진들  (0) 2009.12.05